관심있는-브랜드 B128 딜리버리히어로 배민 선택으로 요기요 포기, 인수 예상 기업은 어디? 2019년부터 지속해 온 딜리버리히어로(DH)와 우아한형제들의 ‘배달의민족’ 기업결합 이슈가 마무리될 듯 한데요. 딜리버리히어로가 ‘배달의 민족’을 선택하기 위해 자회사인 ‘요기요‘를 팔기로 하면서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적했던 시장 독과점 문제를 해소할 듯 합니다. 딜리버리히어로가 기존 안 대로 배달의민족을 인수하면 각각 국내 배달업계 1, 2, 3위인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을 한 회사가 운영하면서 한국 배달앱 시장 99% 이상을 차지하는 상황이었는데요, 이에 공정위는 기업결합 심사에서 ‘요기요를 매각하면 배달의민족과 합병해도 좋다’라는 조건부 승인을 제시했고, 딜리버리히어로는 이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한 겁니다. DH 딜리버리히어로는 2012년 요기요를 설립하며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 독일 외식음식 배.. 2021. 1. 2.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는 무엇을 하는 곳일까? 대중들에게는 글로벌 전기차 브랜드인 ‘테슬라’ CEO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일론 머스크는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는데요. 일론 머스크가 구축하고 있는 포트폴리오는 땅속부터 지구 밖까지 광범위합니다. 대표적으로 세계 1위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 민간 우주 탐사 기업 ‘스페이스X’, 지하터널을 달리는 자기부상열차를 만드는 ‘보링컴퍼니’, 태양광 패널을 만드는 ‘솔라시티’ 그리고 인간 두뇌에 칩을 심어 컴퓨터와 연결하는 ‘뉴럴링크’ 등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일론 머스크가 지휘하는 각각의 포트폴리오가 모두 연결돼 있다는 것인데요, 그 연결에서 키스톤과 같은 역할이 바로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입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와 스페이스X가 우주 클라우드 사업에 협력하기로 했는데요.. 2020. 12. 21. 스포티파이 한국 2021년 상반기 국내 공식 런칭 확정, 기대되는 점은? 소문만 무성했던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업체 ‘스포티파이(Spotify)’의 국내 진출이 공식화됐습니다. 스포티파이는 올해 6월 기준 전 세계 사용자 2억9900만명, 유료 구독자 수 1억3800만명의 세계 최대 스트리밍 서비스입니다. 2020년 한 해 동안 스포티파이가 국내 진출한다는 소식이 여러 번 나왔었는데요, 스포티파이는 내년 상반기 내로 국내에서 서비스를 론칭할 계획이라고 최종 밝혔습니다. 스포티파이는 지난 1월부터 한국 지사인 스포티파이코리아를 설립하는 등 국내 서비스 개시를 준비해 왔었습니다. 인스타그램에 스포티파이코리아 계정 생성과 함께 스포티파이 모바일 앱에서 한국어 공식 지원도 하고 있는 중 입니다.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지난 11월 기준 국내 주요 7개 음악 스트리밍 서비.. 2020. 12. 20. 우표 크기의 스마트 블루투스 체온계 ‘템프 팔(Temp Pal)’ 이 가져온 변화 코로나19를 지나며 어느때보다 예측할 수 없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혼란에 때에 사람들의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성공하는 비즈니스를 하는 지름길일 것 입니다. 코로나19를 겪으며 사회 전반적으로 개인의 건강 관리도 중요한 이슈가 되었는데요. 금년 우리나라의 헬스케어 제품의 매출이 작년대비 2배나 올랐다고 합니다. 개인의 건강 관리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스마트 헬스케어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요. 2025년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4%를 넘어선 고령사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저출산 문제 해소를 위한 정부의 적극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대한민국에서도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헬스케어 제품 중 체온계 시장도 2배 가까이 급성장했는데요. 코로나19가 확산.. 2020. 12. 18. 세계적인 자동차 디자이너가 디자인 혹평한 테슬라 사이버트럭은? 페라리, 마세라티, BMW, 미니, 맥라렌 등 다양한 자동차 브랜드에서 근무하며 명성을 쌓아온 세계적인 자동차 디자이너 프랭크 시티븐슨이 최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디자인에 대한 견해를 공개해 이목을 모으고 있는데요. 유튜브 영상 속 프랭크 스티븐슨은 사이버트럭의 다자인을 1980년 파리 모토쇼에서 등장했던 시트로엥 카린 콘셉트와 비교하며, 사이버트럭 특유의 직선적인 디자인은 충분히 미래적으로 느껴지진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프랭크 스티븐슨은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점수는 익스테리어에 비해 더욱 낮게 평가했습니다. 스티븐슨은 사이버트럭의 실내가 차가우면서도 고립된 분위기이며 반친환경적인 느낌이 든다고 지적했습니다. https://youtu.be/CjPi6Cn4D5M .. 2020. 12. 16. 팬톤이 발표한 ‘2021 올해의 색상’ 얼티밋 그레이 일루미네이팅 그리고 반응은? 매해 ‘올해의 컬러’를 선정하는 색채 연구소 팬톤 컬러 인스티튜트가 ‘2021년의 컬러’를 발표했는데요. ‘2020년의 컬러’였던 ‘클래식 블루’에 이어 새롭게 한 해를 대표하는 색으로 선정된 것은 바로 17-5104 TCX ‘얼티밋 그레이’와 13-0647 TCX ‘일루미네이팅’ 두 가지. 색상 입니다. 매년 한 해의 트렌드를 이끌어갈 ‘올해의 색상’을 발표하는 세계적인 색채 연구소 팬톤(Pantone). 팬톤이 공개하는 색상은 가구, 옷, 네일 컬러, 침대 시트 등 우리 삶 곳곳에 생동감을 불어넣습니다. 2020년은 클래식 블루, 2019년은 리빙 코랄, 2018년은 울트라 바이올렛이었습니다. 팬톤은 일반적으로 올해의 색상을 한 가지 색으로 정하지만, 올해는 일루미네이팅과 얼티미트 그레이 두 가지 .. 2020. 12. 13. 의식주 책임지는 예비(?) 유니콘 기업 3곳 - 무신사 마켓컬리 오늘의집 최근 몇 년동안 MZ세대는 소비 트랜드의 핵심 키워드로 떠올랐는데요. 그 중 무신사, 마켓컬리, 오늘의집 3개의 쇼핑 플랫폼은 개성과 편의성을 중시하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중반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합성어)를 사로잡고 '의식주' 분야의 새로운 강자로 자리잡고 있는데요. 전통적인 의식주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스타트업들이 MZ세대 소비자들을 확보하면서 연이어 기업가치 1조원 안팎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데요. 의류 부문에서는 무신사가 2조원 이상으로 돋보적이고, 식품과 주거 부문에서는 마켓컬리(회사명 컬리)와 오늘의집(버킷플레이스)이 각각 8000억원 안팎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높은 기업가치를 평가받고 있는 의식주 플랫폼 스타트업들 무신사, 마켓컬리, 오늘의.. 2020. 12. 12. 몽클레르 럭셔리 패딩 브랜드 기업 탄생, 몽클레어 스톤아일랜드 인수 스톤아일랜드가 몽클레르(MONCLER) 그룹에 합류했습니다. 이태리 럭셔리 패딩업체 몽클레르(Moncler)가 경쟁사인 스톤아일랜드(Stone Island)를 14억 유로(약 1조8천419억원)에 인수한 것인데요. 몽클레르가 외부 브랜드를 인수한 거 자체가 처음이고, 단순 회사 매입이 아닌 오너가문까지 통째로 힘을 합친 인수입니다. 몽클레르와 스톤아일랜드는 일단 각자 독자적으로 운영 예정이라고 합니다. 스톤아일랜드는 오너 겸 CEO 가문이 지분의 70%, 싱가폴 국부펀드 테마섹이 지분의 30%를 보유중이었는데, 몽클레르는 현금과 주식을 섞어서 스톤아일랜드의 지분을 모두 매입 예정이며, 스톤아일랜드 CEO는 몽클레르 이사회에 참여 예정입니다. 인수 확정 후, 몽클레르와 스톤 아일랜드는 럭셔리에 대한 새.. 2020. 12. 11. 포뮬러원(F1) 레이싱에 한국계 드라이버로 첫 출전하는 ‘한세용’은 누구? 이번 주말 세계 최고의 모터스포츠 대회 포뮬러 1 (이하 F1)에서 첫 한국계 드라이버가 탄생합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한세용인데요. 한세용은 12월 6일 열리는 F1 바레인 사키르 그랑프리에서 윌리엄스 레이싱팀의 머신을 타고 경기에 나설 예정입니다. '포뮬러원(Formula One. F1)'은 그 이름만으로도 세계 팬들을 설레게 하는 매우 역동적인 모터스포츠입니다.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라 불릴 만큼 여러 나라 팬들이 관심갖고 실제 경주장을 찾아 다니기도 하는데요. TV 중계는 연간 6억 명 넘게 시청하니 어마어마한 숫자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의 F1 데뷔는 갑작스럽게 결정되어 더욱 많은 팬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최근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소속 드라이버 루.. 2020. 12. 5. 미국 최대 신발 쇼핑몰 ‘자포스’ 창업한 마케팅 귀재 ‘토니 셰이’ 사망 미국 마케팅의 전설적인 인물인 온라인 쇼핑몰 자포스(Zappos)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토니 셰이가 46세의 나이로 27일화재 사고 후유증으로 사망했다는 소식이 들리네요. 외신에 따르면 자포스는 전날밤 성명을 통해 지난 18일 코네티컷주 뉴런던의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사고로 화상과 유독가스 흡입에 따른 호흡기관 손상으로 고통받던 셰이 전 CEO가 후유증을 이겨내지 못하고 사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금은 온라인에서 신발을 사는 것이 익숙한 광경이지만 셰이는 2000년대 초반 온라인 구매를 꺼리던 소비자들을 '무료 배송과 반송'이라는 당근으로 온라인 신발 판매 붐을 일으켰습니다. 셰이는 "신발은 매장에서 직접 신어본 뒤 구매를 결정한다"는 기존 통념을 깨고 온라인을 통한 신발 판매를 정상궤도로 올려놓은.. 2020. 11. 30. 모두가 인정하는, 역사에 남을 기념비적인 잡지 Top 7 L I F E 1983년 시사와 유머를 실은 잡지로 창간해 1936년 사진 잡지로 성격을 전환한 . ‘TIME’과 ‘Fortune’의 발행인 헨리 루스가 라는 이름을 탐내 아예 인수를 하기도 했는데요. 과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계기는 제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촬영한 로버트 카파를 비롯해 유진 스미스, 알프레드 아이젠슈테트 등 전설적인 사진가가 결정적 순간을 포착해 포토저널리즘 시대를 열었기 때문입니다. 는 1972년 주간지로서의 삶을 마감하고 폐간과 복간을 반복하다 끝내 회생하지 못했으나 구글에서 전권을 스캔해 서비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NATIONAL GEOGRAPHIC 지금 국내에서는 잡지보다는 아웃도어 브랜드로 더 유명한 은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의 호기심이 폭발하던 1.. 2020. 11. 29. 돈 되는건 다 하는 '아마존(Amazon)' 이제 약국사업까지 진출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아마존 파머시(Amazon Phramacy)’를 출시해 온라인에서 처방약 판매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아마존은 수익보다 시장점유율이 우선인 기업인데, 아마존 파머시가 공격적으로 시장을 파고들면, 기존 의약품 유통기업들은 경쟁에서 밀릴 가능성을 보고 지난 17일 아마존 파머시 출시 소식이 나오자 미국 증시에 상장된 의약품 유통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내려갈 정도로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소식입니다. 아마존은 수익보다 시장점유율이 먼저인 회사입니다. 엄청난 매출액에 비해 이익률이 지금까지는 낮은 모습을 보이는 것이 이 같은 철학을 대변하는 모습이죠. 먼저 최대한 편의를 제공해 충성고객을 확보하면 이익은 따라온다는 생각이 아마존의 대표적인 영업전략입니다.전 아마.. 2020. 11. 22. 이전 1 2 3 4 5 ··· 11 다음